뉴스나 기사에서 자주 듣지만, 막상 정확히 설명하기 어려운 경제 용어들 있죠?
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경제 용어 7가지를 실생활 예시와 함께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💡
💰 1. 물가상승률 vs 인플레이션
물가상승률은 특정 기간 동안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.
인플레이션은 전반적인 물가가 오르는 경제 현상 자체를 의미합니다.
📝 예: 물가상승률 3% = 연간 물가가 평균 3% 올랐다는 뜻 → 인플레이션 상황
📉 2. 금리 vs 기준금리
금리는 돈을 빌릴 때 내는 이자율이고,
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장 전체의 금리를 조절하기 위해 정하는 핵심 이자율입니다.
📝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이자·예금금리도 함께 오름
💹 3. GDP vs GNP
GDP: 국내에서 발생한 모든 경제 활동의 총합
GNP: 자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총합
📝 외국인 투자 많으면 GDP는 높지만 GNP는 낮을 수 있음
💱 4. 환율 vs 실질 환율
환율: 1달러 = 1,300원처럼 단순한 환전 비율
실질 환율: 물가를 반영한 실제 구매력 기준의 환율
📝 실질 환율이 낮으면 해외 쇼핑이 유리!
📈 5. 주가수익비율(PER) vs 주당순이익(EPS)
PER: 주가 ÷ 주당순이익 → 주식이 고평가/저평가됐는지 판단 기준
EPS: 1주당 얼마를 벌어들이는지 보여주는 수치
📝 PER이 낮고 EPS가 높은 기업 = 투자 가치 ↑
🏦 6. 유동성 vs 자산
유동성: 현금처럼 바로 쓸 수 있는 자산의 비율
자산: 부동산, 주식, 현금 등 전체 자산
📝 유동성이 낮은 자산은 팔기 어렵고 당장 쓸 수 없음 (ex. 집)
📊 7. 디플레이션 vs 경기침체
디플레이션: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
경기침체: 소비, 투자, 고용 등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경제 전반의 하강 국면
📝 디플레이션은 경기침체의 원인이 되기도 함
💡 경제용어는 어렵지 않습니다
핵심은 실생활과 연결해 생각하는 것입니다.
이제 뉴스 보면서 헷갈렸던 용어들이 훨씬 선명해졌죠?
💬 마무리 한 줄
경제는 이해하는 순간부터 ‘나의 언어’가 됩니다.
매일 조금씩 읽다 보면, 뉴스도 돈 얘기도 훨씬 쉬워져요 😊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과 신청 방법|2025년 최신판 완벽정리 (1) | 2025.05.12 |
---|---|
🤖 로보어드바이저 vs 직접 투자, 어떤 게 더 유리할까? (6) | 2025.05.06 |
📈 ETF 투자,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완전 가이드 (4) | 2025.05.04 |
💸 2025년 월급으로 목돈 만드는 방법 – 현실 가능한 6개월 시나리오 (2) | 2025.04.24 |
💳👫 부부 재테크, 통장 하나로 하면 안 되는 이유 (4) | 2025.04.18 |